보험료 간편하게 확인하기
급발진사고 대처요령
자동차 급발진은 영어로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SUA)*라고 하며,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갑자기 가속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엔진 RPM이 급격히 상승하여 마치 가속 페달을 끝까지 밟은 것처럼 차량이 빠르게 돌진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급발진 시 대처 방법 1. 모든 페달에서 발을 뗀다급발진이 발생하면 당황하여 브레이크와 가속 페달을 혼동할 수 있습니다. 우선 모든 페달에서 발을 떼고 실제 급발진이 맞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브레이크(클러치)를 강하게 밟는다급발진이 발생하면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변속기를 중립(N)으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차(P) 기어로 이동하면 변속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후진(R) 기어로 변경하면 차량이 미끄러질 위험이 있습니다.
4. 속도가 충분히 줄어들면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한다주행 중 급하게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면 차량이 미끄러져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속도가 충분히 낮아진 후 서서히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해야 합니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PB)가 장착된 차량은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시동은 유지한다급발진 시 당황하여 시동을 끄면, 제동과 조향을 보조하는 시스템이 작동을 멈춰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차량이 완전히 정지한 후 시동을 끄는 것이 안전합니다.
6. 충돌이 불가피한 경우차량을 멈추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 측면을 가드레일이나 장애물에 접촉시켜 속도를 줄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속도가 낮을 경우 벽이나 나무 등을 이용해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급발진 예방 방법 1. 시프트 락 시스템 활용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주행 기어로 변속되지 않도록 설계된 시스템으로, 급발진 가능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브레이크 오버라이드 시스템 (BOR) 적용가속 페달을 밟고 있더라도 브레이크를 밟으면 가속 신호를 차단하는 기능입니다. 도요타 급발진 사건 이후 미국에서는 이 시스템의 적용이 의무화되었습니다.
3. 브레이크 진공 펌프 설치고령 운전자나 다리에 힘이 약한 경우 강한 브레이크 압력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때 브레이크 진공 펌프를 추가하면 보다 안전하게 급발진을 방지하고 대처할 수 있습니다.